사회문화 연구보고서
-
토지에 관한 의식조사 설계사회문화 연구보고서 2021. 9. 3. 00:00
「토지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설계 1. 조사설계 이 연구에서 시행한 본 조사인 설문조사, 집단심층토의, 빅데이터 분석 등 세 조사의 설계 내용을 설명하였다. 첫째, 설문조사는 이전 조사와의 연속성과 현안을 고려하여 문항을 정리하여 지역, 세대, 소득, 부동산 유무 등에 따라 표본을 할당하였다. 둘째, 집단심층토의는 세대와 부동산 유무에 따라 6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부동산 관련 투자, 문제, 정책, 부동산을 통한 부의 축적 형태 등을 인터뷰하였다. 셋째, 부동산 관련 언론 기사를 활용하여 시대별 키워드 순위와 특정 정책에 대한 긍정, 부정 경향을 빅데이터 분석하였다. 2. 주요내용 이 연구의 본조사인 「토지에 관한 국민의식조사(2020)」1)을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그 주요 내용2)은 ① 부동..
-
부동산 토지에 대한 의식조사 3. 연구틀, 연구 차별성기대 효과사회문화 연구보고서 2021. 9. 2. 08:00
3. 연구 틀 이 연구에서는 국민의식조사를 시행하여 시계열적인 1차 자료를 생성하는 것과 함께 시대적, 사회경제적 여건도 고려하여 그 결과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예를 들어 에서 정책 시사점으로 ‘부의 불평등 완화’를 도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접근하였다. 조사 단계 중 집단심층토의에서 ‘② 토지 문제와 자산 불평등에 관한 인식’과 ‘④ 토지정책 방향에 대한 인식’을, 국민의식조사에서 ‘III-② 토지정책의 추진방향에 대한 인식’을, 빅데이터 분석에서 ‘① 종합부동산세’를 분석하여 이슈를 발굴하여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선 이 연구에서 시행한 「토지에 관한 국민의식조사(2020)」, 집단심층토의, 빅데이터 분석의 조사 설계를 설명하였다(제2장 조사 설계). 분석의 연령 단위인 세대를 구분하고..
-
부동산 토지에 대한 의식조사 2. 연구범위와 방법사회문화 연구보고서 2021. 9. 1. 08:00
1. 연구 범위와 방법 1) 연구범위 「토지에 대한 국민의식조사(이하 국민의식조사)」를 처음 실행한 1979년부터 이 연구의 조사 시점이 2020년으로 시간 범위를 설정하였다. 이번 조사의 항목 중 일부는1) 2006년 조사는 5점 척도로 ‘적정하다’가 36.2%였고, ‘부과기준이 낮다(기준 축소)’가 19.6%였음. 이전 조사의 연장선에서 변화를 살펴보았다. 공간적, 조사 대상의 범위는 전국 20대 이상 국민으로 설정하였다. 조사의 중심 주제는 ‘토지’이다. 여기서 토지는 ‘주택, 상가, 공장 등 건물을 포함 하거나 포함하지 않은 것’을 모두 포괄한다. 일반적으로 주택가격은 토지와 건물 가격으로 구성되며, 이중 건물가격은 감가상각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락하고, 토지 가격은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