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감정대리인, 내 감정을 부탁해사회문화 연구보고서 2021. 8. 23. 08:00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런데 점점 우리는 타인에게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워지고, 자신의 감정조차 제대로 읽기 힘들어졌다. 이에 많은 사람이 직접적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대신 감정대리인을 통해 감정을 해소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김난도 교수의 『2019 트렌드 코리아』에서는 ‘감정의 외주화’, ‘감정의 맥도날드화’라고 소개한 적이 있다. 감정의 맥도날드화는 메스트로비치의 저서 『탈 감정사회』에 나온 용어다. 슬픔과 행복, 기쁨, 사랑 등의 감정은 대중적으로 소비되며 한입 크기로 만들어진 ‘해피밀’처럼 적당한 감정소비를 하는 것에 비유한 것이다. 감정대리인은 감정을 대리해주는 사람이나 상품, 서비스를 말한다. 대표적인 감정 대리인의 예는 이모티콘이다. 말로 ‘슬프다, 화난다, 재밌다’를 직..
-
회의 효과적으로 하는 법경영경제뉴스 2021. 8. 21. 08:00
■ 회의 주제와 목표를 명확하게 전달한다 진행자가 안건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준비를 갖추어야 원활한 회의가 될 수 있다. 최소 몇 시간 전에 참석자들에게 주제를 전달하여 각자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다.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회의인지 해결책을 찾는 회의인지 명확하게 구분하고, 관련 자료가 있다면 미리 배포해 읽어 오게 하는 것도 좋다. 시작 시간과 함께 종료 시간을 미리 공지하는 것도 필수 항목. 제한된 시간에 회의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회의 시 참석자는 업무 관계가 명확하고 의사 결정권이 있는 사람으로 제한한다. 중요한 이슈를 공유한다는 의미로 참석자의 범위를 넓히면 업무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거나 결정권이 없는 사람은 회의 내용을 귀 담아 듣지 않고 그냥 앉아 시간을 낭비하기 때문..
-
밥상머리 교육, 가족의 행복사회문화 연구보고서 2021. 8. 20. 08:36
한 끼의 식사는 대화를 통한 가족의 회복과 소통을이루어 낸다. 또한 가족 간의 식사는 자녀들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준다. 가족 식사가 사회적 소통으로 이어지는 통로인 것을 많은 사람들은 간과하고 있는 요즘, 가족이라는 공동 운명체의 결속을 다지는 식사의 중요성을 알아보자. ■ 가족 식사시간이 행복을 좌우한다 이른바 ‘먹방’, ‘쿡방’이 유행한 지 꽤 되었다. 그 중 요즘 인기 있는 ‘먹방’으로 예능인들이 일반인의 집을 예고없이 찾아가 한 끼의 식사를 요청하는 방송이 있었다. 흥미를 끄는 부분은 스스럼없이 문을 열고 과객(過客)을 맞아들이는 사람들이 대부분 2대 혹은 3대의 가족이 둘러앉아 식사를 하는 가정이라는 점이다. 시청자는 이런 가족의 모습을 통해 도란도란 둘러앉아 음식을 먹던 옛 기억을 추억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