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가격상승
-
토지가격 상승에 대한 의식사회문화 연구보고서 2021. 9. 8. 08:00
1. 사회문제로서 토지가격 상승 1980년대 후반부터 2020년까지 경제성장률, 소비자 물가지수, 소득지수 등 주요 거시 경제 변수의 증가율은 둔화 또는 감소하지만, 아파트 가격은 급격히 상승하였다. ( 참조). 1986년을 기준으로 할 때 2016년 임금 지수는 293이고, 주택가격 지수(전국 아파트가격 지수)는 477로 주택가격 상승률이 임금 상승률을 크게 상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2006년 이후 임금의 상승률은 둔화하거나 감소하지만, 주택가격 지수는 계속 상승하여, 임금과 가격 지수 간 격차가 더 커졌다(송하승·이형찬·김선영, 2017, 36-37). 이처럼 토지(부동산) 가격이 많이 오르는 현상이 사회문제인가를 묻는 조사에 대해 ‘문제다’라는 응답이 88.7%로 매우 높았다( 참조).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