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경제뉴스
-
의사결정 잘하는 법, 의사결정 모델경영경제뉴스 2021. 8. 15. 08:00
스탠퍼드 대학의 제임스 마치(James G. March) 교수의 의사결정 모델에 따르면, 사람들은 결정을 내릴 때 두 가지 기본 모델을 사용한다고 한다. 첫 번째 모델은 ‘결과 계산에 따른 의사결정’ 모델인데, 여러 대안의 가치를 측정하여 그중 더 높은 가치를 주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경제적 측면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의사결정 모델인데, 인간의 이성에 기반한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회사가 돈을 많이 주고 복지 수준이 높을까? 어떤 후보자가 내 세금을 깎아줄까?’ 같은 질문들. 두 번째 모델은, ‘정체성에 따른 의사결정’ 모델이다. 인간은 또한 자신의 정체성에 기초해 결정을 내린다. 사람들은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진다. ‘1) 나는 누구인가? 2) 이것은 어떤 상황인가? 그리고 1) 나 같은 ..
-
우리에겐 어떤 기업문화가 필요할까?경영경제뉴스 2021. 8. 14. 08:00
숫자에 포함할 수 없는 무언가가 있다. 등가교환으로 환산할 수 없는 보이지 않는 가치가 있다. 우리는 가게에서 가격표에 적힌 금액을 주고 물건을 사지만 그 물건이 가족에게 줄 선물이라면 가격표를 떼고 포장해 마음을 담아 준다. 이를 인류학에서는, 숫자로 환산되는 ‘교환 경제’와 구분하여 선물 경제, 즉 ‘증여 경제’라고 한다. 증여 경제에서는 교환되는 물건에 보이지 않는 가치, 인간적인 가치가 부착된다. 다양한 감정, 명예, 역사, 권한 등 무한한 가치가 마치 영혼이나 원혼처럼 주고받는 대상에 붙어 다닌다. 교환되는 물건은 ‘인간의 마음’과 절대 분리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받으면’, ‘갚아야 할 의무’가 발생하게 된다. 거꾸로 ‘주면’, ‘받아야 할 의무’도 같이 발생하게 된다. 교환가치와 달리 ..
-
워라벨 시대 내 시간을 어떻게 관리할까?경영경제뉴스 2021. 8. 13. 08:00
주 52시간 근로제로 퇴근 후 풍경이 달라지고 있다. ‘워라밸 work and life balance의 줄임말 ’을 추구하며 저녁 시간에 생긴 여유를 나를 위해 알차게 보내려는 직장인이 늘고 있는 것. 무조건적인 성과를 중시했던 사회 분위기에서 점점 벗어나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려는 분위기가 조성되는 단계다. 한 번뿐인 인생을 뜻하는 ‘욜로 Your Life Only One ’,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의미하는 ‘소확행’, 여유롭고 편안한 삶을 의미하는 ‘오캄 OKLM ’ 등은 모두 일상 속 작은 행복을 지향하는 단어다. 행복을 위해 나에게 생긴 휴식을 그냥 흘려보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취미를 통해 새로운 것을 즐기고 배우며 적극적으로 받아들인다. 취미는 전문적으로 하는 일이 아니라 즐기기 위해서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