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수평바람장 결과 및 고찰
    사회문화 연구보고서 2021. 9. 24. 08:46

    1. 수평 바람장

     

    는 대상 건축문화재인 황궁우를 중심 으로 하여 D1~D3 영역에 대한 수평 벡터장을 유입 류 풍향조건별로 나타낸 것으로, 2m AGL 및 10m AGL에서의 수치모의 결과이다. 먼저, 유입 동풍인 의 경우, 유입 측면경계인 동쪽 방면에서 는 동풍이 발달하지만(D1), 도로협곡 및 건물들에 의 한 흐름의 분리와 회전 등으로 인해 중심영역에서는 북풍, 동풍, 남풍이 유입되는 양상을 보였고(D2), 황궁 우는 건물 ②와 건물 ③ 사이의 통로에서 형성된 동풍 의 영향을 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D3), 2m으로 서풍의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D3). 유입 남풍인 의 경우, 유입 측면경계인 남쪽으로부터 도로협곡을 타고 흐르는 남풍이 잘 발 달하였고(D1), 이 영향으로 중심영역에서도 남풍의 유입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황궁우 영역의 외곽 을 타고 회전하는 흐름이 발달하는 양상을 보였다 (D2). 그러나 황궁우 영역에서는 남쪽으로부터의 유 입 흐름과 함께 건물 ② 및 건물 ②와 건물 ③ 사이의 통로에서 형성된 동풍계열의 흐름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였고, 황궁우는 주로 동풍계열의 영향권에 있었으 며, 특히 북동풍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D3). 이러한 양상은 2m AGL 및 10m AGL에서 거의 유사 하였다. 

     

     

    AGL 및 10m AGL에서의 흐름의 양상은 거의 유사하 였다. 유입 서풍인 의 경우, 유입 측면경계인 서쪽 방면에서는 서풍이 지배적으로 발달하였고(D1), 서쪽 방면의 비교적 낮은 건물 밀집도로 인해 중심영 역도 유입 서풍의 영향을 받았으나, 황궁우의 북서쪽 에 위치한 건물 ①의 서쪽 외곽에서는 흐름의 분리 및 풍향의 급변화 현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2m AGL 의 경우에 블로킹(Blocking) 현상이 강하게 나타났다 (D2). 황궁우 영역에서는 서풍계열 및 동풍계열의 흐 름이 복잡하게 형성되었으며, 황궁우는 2m AGL의 경 우에 건물 ② 및 건물 ③에 의해 형성된 북동풍 및 남동풍의 영향을 받았으나, 10m AGL의 경우에는 서 쪽의 상대적으로 낮은 건물을 넘어오는 흐름의 영향유입 북풍인 의 경우, 유입 측면경계인 북쪽으로부터 도로협곡을 타고 흐르는 북풍이 잘 발 달하였으나(D1), 중심영역에서는 중앙부에 위치한 고 층건물들의 영향으로 흐름의 분리 및 블로킹 현상이 강하게 나타났다(D2). 황궁우는 2m AGL의 경우에 건 물 ③에 의해 형성된 남풍 및 남동풍의 영향을 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0m AGL의 경우에는 약한 북서풍의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D3).

     

    2. 연직 바람장

     

    상승 및 하강 기류와 같은 바람의 연직흐름을 분석하 기 위하여, 에서 보인 황궁우를 중심으로 하는 W-E 라인 및 N-S 라인에 대한 연직 단면 및 3D 벡터장을 살펴보았으며, 황궁우에 인접한 ①~③ 번 건물의 영향을 중심으로 유입류별 해석을 수행하 였다. 먼저, 유입 동풍인 경우를 살펴보면( 참 조), 유입류의 영향으로 W-E 단면에서 동풍의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고, 황궁우의 동쪽 방면에 위치한 고 층건물의 풍상 및 풍하 측면에서는 연직와류가 형성이에서 형성된 협곡흐름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되었으 며(N-S방향 3D 벡터장), 이로 인해 황궁우 동쪽 측면 이 바람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입 서풍의 경우( 참조), 대상영역의 서쪽 방면이 건물의 군집도 및 지형이 상대적으로 낮 아 W-E 단면에서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서풍의 흐름 이 확인되었고, 황궁우의 서쪽 방면에 위치한 고층건 물의 풍상 측면 및 풍하측 상층부에서는 하강기류가되면서 하강기류(청색음영; <0) 및 상승기류(적색 음영; >0)가 강하게 나타났다. 이 고층건물을 넘어 오는 바람의 영향으로 황궁우의 상공에는 하강기류가 형성되지만, 황궁우의 풍상측면에서는 황궁우를 타고 넘는 지표부근의 흐름의 영향으로 약한 상승기류가 형성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황궁우 주변에 서의 흐름의 양상은 W-E방향의 3D 벡터장으로부터 상세히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건물 ②와 건물 ③ 사이에서 형성된 협곡흐름의 영향인 것으로 분석되었으 며(N-S방향 3D 벡터장), 이로 인해 황궁우 동쪽 측면 이 바람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입 서풍의 경우( 참조), 대상영역의 서쪽 방면이 건물의 군집도 및 지형이 상대적으로 낮 아 W-E 단면에서 전반적으로 상승하는 서풍의 흐름 이 확인되었고, 황궁우의 서쪽 방면에 위치한 고층건 물의 풍상 측면 및 풍하측 상층부에서는 하강기류가발생하였다. 또한, 황궁우 동쪽 방면 고층건물의 풍상 측면 하단부에서는 연직와류에 의한 하강기류가 확인 되었다. W-E 단면상의 황궁우 주변에서는 서쪽 고층 건물을 넘어오는 바람에 의해 전반적으로 서풍이 지 배적으로 발달하여, 황궁우도 서풍의 영향을 받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W-E방향 및 N-S방향의 3D 벡터장을 확인한 결과, 황궁우 상부의 서풍의 흐름이 건물 ② 및 건물 ③에 부딪쳐 각각의 연직와류를 형성하였고, 황궁우의 하단부는 이 연직와류의 영향으로 동풍계열의 바람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과적으로, 황궁우의 상단부는 서쪽 측면, 하단부는 북 동 및 남동 측면이 바람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평가되 었다. 유입 남풍의 경우( 참조), 유입 방향을 고려하여 N-S 단면을 살펴보면, 황궁우 남쪽 방면의 고층건물 풍상 측면에서 바람의 블로킹 현상과 하강기류가 나타났고, 상층부의 바람은 고층건물을 넘어 가 황궁우 상공의 북쪽 방면에서 하강하는 양상을 보 였다. 다만, 황궁우의 인접영역에서는 상승기류가 확 인되는데, 이는 W-E방향 및 N-S방향의 3D 벡터장을 살펴보면, 건물 ② 및 건물 ③ 사이의 협곡에서 형성 된 연직와류의 영향으로 판단되며, 이로 인해 황궁우 의 북동 측면이 주로 바람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평가 되었다

    댓글

Copy right by DK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