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심 건축문화재 주변의 상세흐름 서론사회문화 연구보고서 2021. 9. 20. 14:52
1. 서론
현대사회에 다다르면서 전 세계적으로 일어난 산업화 는 도시화를 심화하였고, 건물의 개체수 및 크기와 밀 집도 등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김정 호 2020). 또한 현대 도시의 무질서한 개발은 도시지 역의 범위가 교외로 확장되는 것을 유도하고, 비점적 인 환경오염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무분별한 도시개발을 규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도시계획 및 개발정책에 반영하였고, 이에 대한 방안 중 하 나로 특정 영역에 대해 고밀도의 집약적 개발을 통한 압축도시를 선호하거나(이일희, 이주형 2012), 세부적 으로는 건물의 형태 및 집합으로 이루어진 도시공간 구조(Urban Spatial Structure)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기 도 한다(윤갑식, 이갑정 2013). 건물 외관비 및 건물군의 배치는 모양새에 따라 바 람의 영향이 다양하게 발생되며, 역학적 외력의 작용 은 바람의 흐름을 분리하거나 수렴하는 등의 양상을나타내고(김재진 2007), 지형 및 지리적 특징과 인공 구조물의 건설에 따라 국지풍을 여러 형태로 변화시 킨다(Oke 1988; 권아름, 김재진 2015; 김도용, 김재진 2016). 또한 건물의 다양한 외관비 및 초고층 건물의 형태와 크기, 그리고 기타 지역적 특성 등에 따라 주 변에 위치한 건물들에 의해 발생하는 풍환경에도 영 향을 미치면서, 복잡하고 다양한 기류의 형성 등 여러 국지기상 현상을 유발한다(정해연, 김문성, 이성희, 이규석 2012).
특히, 위의 현상 중에서 빌딩풍의 경우 는 고층 건축물에 의한 소용돌이 형성 등 급격한 기류 의 변화를 일으켜 건축물의 안정성 및 내구도에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상조건에 따라 강 한 풍속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외부환경의 위험성 증가로 건축물과 보행자에 대한 각종 피해를 유발하 기도 한다(정창헌, 류성룡 2013). 따라서, 도심 건물지 형에서 형성되는 풍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도 시지역의 상세 바람장 및 빌딩풍 등의 환경영향평가 와 모니터링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Mikhailuta, Lezhenin, Pitt and Taseiko 2017; Mittal, Sharma and Gairola 2018).
옥외에 노출되어 있는 문화재의 경우에는 각종 오 염물질이나 바람 및 강수 등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 한 물리・화학적 풍화작용에 의해 손상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안성 청룡사 삼층석탑, 화순 운주사 석조불 감, 이집트 피라미드 등의 풍화훼손 사례가 있다(박형 동, 신기혜, Aboushook 2001; 이선명, 이명성, 조영훈, 이찬희 외 2007; 박성미, 이명성, 최석원, 이찬희 2008). 이러한 문화재의 풍화훼손도는 대기오염물질 의 배출이 많고 복잡한 풍환경이 형성되며, 또한 각종 개발 행위가 이루어지는 도시지역에 위치한 경우에 심화될 수 있다. 도심지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대표적 인 건축문화재 중 하나인 숭례문의 경우에도 석재가 풍화 및 흑화 작용 등에 의해 훼손되거나, 박리 및 균열 등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되었다(이상헌 2002). 그 러나, 도심지 내에 위치해 있는 건축문화재를 대상으 로 한 풍환경 영향평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매 우 미흡한 실정이며, 이에 따라 도심 건축문화재의 보존을 고려함과 동시에 국토개발정책에 연계・활용 될 수 있는 풍환경 수치모델링 기법 등 바람의 영향 성에 대한 예측 및 평가를 위한 기반연구의 필요성 이 대두된다. 문화재의 경우, 시대적 대표성을 띄면서 그 시대의 생활 및 문화, 양식 등을 반영하고 역사의 증거로서 높은 보존가치를 가진다(김성조, 김영태 2012). 따라 서 점차적으로 심화되어가는 도시화 및 풍환경 변화 에 대한 피해에 대응하고 건축문화재를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도시의 압축화 현 상으로 인해 더욱 복잡해져가는 도심지에 위치한 건 축문화재를 대상으로 풍환경 평가를 위한 전산수치실 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대상영역에서 형성되는 미세 규모 바람장 등의 전반적인 흐름 양상과 주변 고층 건물들로 인한 영향, 그리고 국지적 풍속 분포 등에 대한 상세분석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