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 1/4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사회문화 연구보고서 2021. 8. 29. 17:33
■ 요 약
(국내공급동향) 2021년 1/4분기 제조업 국내공급은 국산은 줄었으나수입이 늘어 전년동기대비 3.3% 증가
○ (국산・수입) 국산은 0.1% 감소하였고, 수입은 12.5% 증가
○ (재별) 최종재는 2.8% 증가(소비재: 4.7%, 자본재: 0.2%), 중간재는 3.6% 증가
- 소비재는 휴대용전화기, 소형승용차 등이 증가
- 자본재는 웨이퍼가공장비, 반도체검사장비 등이 증가
- 중간재는 자동차부품, 시스템반도체 등이 증가
○ (업종별) 기타운송장비(-49.4%) 등은 감소하였으나, 기계장비(15.0%), 자동차(13.1%) 등은 증가(수입점유비) 28.5%로 전년동기대비 1.6%p 상승
○ (최종재) 32.6%로 전년동기대비 4.5%p 상승
- (소비재) 27.3%로 1.5%p 상승
- (자본재) 40.1%로 8.8%p 상승
○ (중간재) 25.8%로 전년동기대비 0.2%p 하락1. 제조업 국내공급동향
2021년 1/4분기 제조업 국내공급은 국산은 줄었으나 수입이 늘어 전년동기대비 3.3% 증가
-국산은 기타운송장비, 전자제품 등이 줄어 0.1% 감소하였고, 수입은 전자제품, 기계장비 등이 늘어 12.5% 증가재별로는 최종재는 2.8% 증가, 중간재는 3.6% 증가
○ 소비재는 휴대용전화기, 소형승용차 등이 늘어 4.7% 증가, 자본재는 웨이퍼가공장비, 반도체검사장비 등이 늘어 0.2% 증가
○ 중간재는 자동차부품, 시스템반도체 등이 증가
□ 업종별로는 기타운송장비(-49.4%) 등은 감소하였으나, 기계장비(15.0%), 자동차(13.1%) 등은 증가2. 재별 국내공급동향
2021년 1/4분기 최종재 국내공급은 소비재(4.7%)와 자본재(0.2%)가 모두 늘어 전년동기대비 2.8% 증가(국산: -4.9%, 수입: 23.6%)
○ 소비재 국내공급은 국산(1.0%)과 수입(15.5%)이 모두 늘어 4.7% 증가
○ 자본재 국내공급은 국산(-13.8%)은 줄었으나 수입(32.6%)이 늘어 0.2% 증가
□ 2021년 1/4분기 중간재 국내공급은 국산(3.2%)과 수입(4.6%)이 모두 늘어 3.6% 증가3. 업종별 국내공급 동향
□ 2021년 1/4분기 제조업 국내공급을 업종별로 보면, 기타운송장비 등은 감소하였으나, 기계장비, 자동차, 전자제품 등은 증가
○ (기계장비) 국산(6.0%)과 수입(35.7%)이 모두 늘어 15.0% 증가
○ (자동차) 국산(13.4%)과 수입(11.4%)이 모두 늘어 13.1% 증가
○ (전자제품) 국산(-7.8%)은 줄었으나 수입(21.8%)이 늘어 9.2% 증가
○ (기타운송장비) 국산(-52.2%)과 수입(-27.3%)이 모두 줄어 49.4% 감소4. 수입점유비 동향
□ 2021년 1/4분기 제조업 국내공급 중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28.5%로 전년동기대비 1.6%p 상승
○ (재별) 최종재의 수입점유비는 상승하였고, 중간재는 하락
- (최종재) 32.6%로 전년동기대비 4.5%p 상승
․(소비재) 27.3%로 1.5%p 상승
․(자본재) 40.1%로 8.8%p 상승
- (중간재) 25.8%로 전년동기대비 0.2%p 하락
○ (업종별) 기타제품, 가죽 및 신발, 전자제품 등의 수입점유비는 상승한 반면, 석유정제 등은 하락
- (기타제품) 44.8%로 8.3%p 상승
- (가죽 및 신발) 76.6%로 6.1%p 상승
- (전자제품) 63.3%로 5.6%p 상승
- (석유정제) 30.9%로 4.0%p 하락「제조업 국내공급지수」 작성 개요
□ 작성목적
- 제조업제품의 국내공급동향을 국산과 수입을 포함하여 조기에 파악․제시함으로써 국내시장 전체의 동향 및 구조변화 등 각종 정책수립 및 연구분석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 포괄범위
- 『한국표준산업분류』상 제조업(1개 대분류)
□ 대상품목
- 472개 품목
□ 기초자료
- 2015년 기준 경제총조사(제조업부문) 품목별 내수출하금액(통계청)
- 광업제조업동향조사 품목별 내수․기타출하 금액 및 물량자료(통계청)
- 국가․품목별 수입금액 자료(관세청)
- 수입물가지수, 환율(한국은행)
□ 분류체계
- 재화: 「최종재」( 「소비재」와 「자본재」로 구성)와 생산활동에 투입되는 「중간재」로 분류
※ 동 분류는 현행 광공업생산지수 재별 분류체계와 동일(단, 소비재와 자본재를 포괄하는 최종재 분류 추가)작성계열
- 재별․업종별 지수(국내공급․국산․수입)
- 수입점유비
□ 작성주기 및 공표
- 작성주기: 월
- 결과공표: KOSIS를 통해 월별 공표(산업활동동향 공표 후 10일 이내)
- 보도자료: 분기별로 제공
□ 작성방법
- (작성방법 개요) 품목별로 국산 및 수입 금액(실질)을 합산하여 전체 공급금액(실질)을 산출한 후, 각각을 합산하여 업종별․재별 공급금액(실질)을 산출하고 이를 지수화
- (세부 작성과정)